69.5 F
Dallas
일요일, 4월 20, 2025
spot_img

[안광문 목사] 불의한 청지기

안광문 목사(생명샘교회)

하나님의 마음에 합당한 삶을 살기

누가복음 16:1-13에 나오는 불의한 청지기에 대한 말씀은 신약에서 이해하기 어려 운 말씀 중 하나입니다. 어떤 부자가 있었는데 청지기가 자신의 재산을 탕진한다는 말을 듣게 됐습니다. 결국 주인이 청지기에게 해고 통보를 했습니다. 난감해진 청지기가 궁리를 하다가 아이디어가 떠올랐습니다. 빚진 사람들을 불러 빚이 얼마냐고 물었습니다. 첫 번째 사람은 기름 100 말이라고 하였고 청지기는 50 말이라고 적으라고 했습니다. 두 번째 사람은 밀 100 섬이라고 하니까 80 섬이라고 적으라고 했습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주인의 반응은 어땠을까요? 제가 그 주인이었다면 노발대발하면서 청지기를 해고했을 것입니다. 그렇지 않아도 청지기가 주인의 재산을 탕진한다는 소문 때문에 청지기를 해고하려고 한 것인데 청지기의 행동은 사기와 문서 위조였기 때문입니다. 주인 허락도 받지 않고 자기 마음대로 빚을 줄여 줄 수 있는 권한이 청지기에게는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주인은 그 청지기를 슬기롭게 대처했다고 칭찬했습니다. 청지기는 주인 재산을 마치 자기 것이라도 된 것처럼 탕감해주고 있는데도 이 말씀에서 이 청지기는 남의 것에 충실했다는 말씀으로 이해됩니다. 여러분은 이 상황이 쉽게 이해되시나요?
이 말씀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 말씀이 어디에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 말씀의 앞부분, 15:1을 보면, 세리들과 죄인들이 예수님 말씀을 들으려고 왔는데, 바리새파 사람들과 율법학자들은 예수님이 세리와 죄인들과 같이 음식을 먹는다고 비난하였습니다.
그러자 예수님께서 100 마리 가운데 잃어버렸다가 되찾은 1 마리 양에 대한 비유, 드라크마 1 닢을 잃어버렸다가 찾은 여인에 대한 비유, 탕자의 비유, 그 다음에 이 말씀을 하셨습니다. 16:14을 보면, 돈을 좋아하는 바리새파 사람들이 듣고 예수님을 비웃었다고 합니다.
비유는 실제 상황이 아니고 누군가 비유의 대상이 있습니다. 청지기는 누구를 비유하는 것일까요? 16:14에 나오는 사람들, 즉 돈을 좋아한다고 하는 바리새파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이 비유는 15:2에서 예수님이 세리, 죄인들과 같이 음식을 먹는다고 투덜거리고 16:14에서 예수님께서 하신 비유를 듣고서 비웃었던 돈을 좋아하는 바리새파 사람들에게 들으라고 하는 말씀입니다.
바리새파 사람들 하면 자동적으로 떠오르는 것은 율법입니다. 신명기 23:19을 보면 동족에게 이자를 받지 말라는 말씀이 나옵니다. 그런데 이 말씀을 뒤집어 보면 동족이 아닌 사람들, 즉 이방인들에게는 이자를 받아도 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러면 그 당시 얼마의 이자를 받았을까요? 보통 100%, 50%, 최하 20%이었다고 합니다. 요즘 하고 비교할 수 없는 높은 금액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이 큰 금액을 동족에게는 받지 않고 포기하는 것이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렇다고 율법을 어길 수는 없고, 율법을 지키려고 하니 이자를 받을 수 없고,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이렇게 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기름 50 말을 빌렸다고 하면, 이자가 100%니까 이자까지 하면 총 100 말이 됩니다. 빚문서에 아예 원금을 100 말로 적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면, 문서상으로는 이자를 받지 않지만 실제로는 이자를 받은 것입니다. 즉, 이자도 받고 율법도 지킬 수 있는 것입니다.
바리새파 사람들을 포함해서 그 당시 다 그렇게 했던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주인은 이렇게 말합니다. “자네를 두고 말하는 것이 들리는데, 어찌 된 일인가?” (눅 16:2) 그러니까 그 청지기가 기름 100 말을 50 말이라고 쓰라고 한 것과 밀 100 섬을 80 섬이라고 쓰라고 한 것은 청지기가 자기 마음대로 주인 재산을 축내 가며 빚을 탕감해 줬던 것이 아니라 원금과 이자를 합친 금액, 즉 이자는 안 받고 원금만 받는 척하면서 적어 놓은 것을 원래대로, 원래 율법대로, 하나님 말씀대로, 하나님의 마음에 맞게 돌려 놓았던 것입니다. 그러니까 주인은 청지기가 슬기롭게 대처했다고 하면서 청지기를 칭찬했던 것입니다.

최근 기사

이메일 뉴스 구독

* indicate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