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4 F
Dallas
월요일, 7월 14, 2025
spot_img

다음세대 없는 교회 현실로 … 20대 기독교인, 5년 새 절반 급감

▲교회 떠나가는 청년들.(사진=연합)

20대 기독 청년의 수가 지난 5년 사이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목회데이터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주간 리포트를 공개했다.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작성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19세 이상 29세 이하 개신교인의 비율이 2017년 21%에서 2022년 11%로 하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직전 조사 대비 50% 가까이 줄어든 셈이다.

30대의 경우 5년 전(20%)보다 5%p 낮아져 현재 15%만이 개신교인 것으로 조사됐다.

2030세대의 종교인구도 2004년을 정점으로 계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특히 타 세대에 비해 높은 하락폭을 보였다.

20대 종교인 비율은 2004년 49%에서 2022년 19%로, 30대는 52%에서 25%로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2030세대 중 현재 교회에 출석하지 않는 ‘가나안 성도’에게 이탈 시기를 물은 결과, 31%는 청소년기 이전에 교회를 떠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어 ‘대학 시절 또는 취업 전’이 35%, ‘취업 후’ 24%, ‘결혼 후’ 10%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령별 종교 분포 조사 결과, 2030 개신교인의 비율이 같은 연령대 종교인 중 평균 59%의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종교인 10명 중 6명은 개신교인 셈이다.

이를 두고 목데연은 미래에는 개신교가 한국의 주도적인 종교로 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목데연 관계자는 “청년의 종교 인구를 목회적 입장에서 보면 다음세대에 대한 불안과 희망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며 “기독 청년의 신앙을 유지하고 세우는 것이 한국교회 앞에 놓인 중요한 과제”라고 밝혔다.

이어 “기독교 사상과 가치관으로 무장된 교회학교 학생, 청년세대 한사람을 키우는 것이 한국교회를 살리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기사

이메일 뉴스 구독

* indicate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