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새해를 맞이하며 대한민국은 본격적으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예상보다 빠른 속도다. 하지만 빈곤 노년층 확대와 일자리 감소, 자살률 증가 등 노인 문제 해결은 갈 길이 멀다. 각계각층의 대응이 필요한 가운데 초고령사회에 따른 한국교회의 대책도 요구되고 있다.
지난달 23일 기준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1,024만4,550명)가 전체 주민등록인구(5,122만1,286명)의 20%를 넘기면서 우리나라는 국제연합(UN) 기준에 따른 ‘초고령사회’에 공식적으로 진입했다. UN은 65세 인구가 전체에서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은 고령화사회, 14%이상은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로 구분하고 있다.
한국의 고령화 속도는 세계적으로도 전례 없을 정도로 빠르다.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8년 10.02%에서 2011년 11.01%, 2013년 12.03%, 2015년 13.02%, 2017년 14.02%로 꾸준히 증가했다. 2019년 처음으로 15%를 넘어섰으며, 지난해 말에는 20%에 도달했다. 2008년 약 494만 명이던 65세 이상 인구는 16년 만에 두 배 이상 증가하며 1,000만명을 돌파한 셈이다.
1955~1974년생인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인 인구 편입이 고령화를 가속화한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약 1,600만명에 달하는 베이비붐 세대가 노년에 접어들면서 한국 사회의 고령화 속도는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이런 추세라면 2045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37%에 이를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조영태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장은 “1960년생이 65세가 되는 2025년도를 시작으로 1974년생이 65세가 되는 14년간 매년 80만명 이상이 65세 이상 인구가 된다”며 “앞으로 고령화는 더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지만, 이에 따른 국가적 대응은 더딘 상황이다. 계엄령 이후 혼란스런 정국 속에 노인 고용과 연금, 복지 서비스 등 사회적 안전망 구축에 제동이 걸렸다.
저출생 및 고령화 문제를 전담할 인구부 신설 작업도 난항을 겪고 있다. 지난해 7월 발의된 인구부 신설을 위한 정부조직법 개정안 작업은 여야 간 갈등이 심화하며 인구부 출범 계획 자체가 불투명해졌다. 당초 올 상반기 출범을 목표로 했던 일정이 무산될 가능성이 커졌다.
행안부 관계자는 “관련법이 통과돼야 하부 조직 설계 등 세부 절차에 들어갈 수 있다”며 “연내 법안이 통과돼 상반기면 인구부 출범이 가능할 거라 봤는데 현재로선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의 미온적인 대응 속에서 지자체와 교회 등 민간 차원의 개입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교회는 은퇴 후 사회적 관계가 줄어드는 노인들에게 정서적 안정감과 소속감을 제공하는 돌봄 공동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역사회와 협력해 노인 복지 사역에서 다양한 시너지도 낼 수 있다.
이재민 강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이제 정부에만 의존하면서 손을 놓고 있을 수 없는 시점에 이르렀다”며 “민간 차원의 적극적인 개입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그동안 교회 공동체는 노인 빈곤, 일자리 문제, 고독사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최상의 ‘노인 복지 허브’ 역할을 해왔다”며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지금, 교회가 지역사회와 협력해 상생의 길을 열기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행동이 필요하다. 교회가 노인 문제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지고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