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9 F
Dallas
금요일, 10월 18, 2024

자살공화국 오명 언제까지…’자살률’ 9년 만에 최고

하루에 자살로 사망 38.8명 … 역대 최고치 기록한 10대 자살률

지난해 국내 자살률이 2014년 이후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한국은 ‘자살공화국’이라는 불명예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특히 10대 자살률은 1983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사회적으로나 종교적으로나 보다 적극적인 돌봄과 대응이 필요해 보인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2023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자살로 인한 사망자 수는 1만3,978명으로, 전년 대비 8.3% 증가했다. 1일 평균 38.3명이 자살로 생을 마감한 것으로, 2014년(1만3836명)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자살률(인구 10만명당 명수)도 8.5% 늘어난 27.3명을 기록했다. 이 역시 2014년(27.3명) 이후 가장 높다.
자살률이 오른 것은 2021년 이후 2년 만이다. 60대와 50대에서 큰 폭으로 늘어난 영향이 컸다. 연령대별로 보면 60대에서 자살률이 전년보다 13.6% 늘어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50대(12.1%), 10대(10.4%)가 그 뒤를 이었다.
자살은 10~30대 사망 원인 1위이기도 했다. 지난해 10대 자살률은 7.9명로, 전년(7.2명) 대비 10.4% 증가했다. 역대 최고다. 10대 자살률은 2018년(5.8명) 증가세로 돌아선 이후 6년 연속 오르고 있다. 2021년(7.1명)엔 처음으로 7명선을 넘어서기도 했다. 20대에서는 사망자 중 52.7%가 자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자살률 증가 원인을 사회적 고립 및 경제난 심화 등 코로나19가 남긴 후유증과 더불어 자살을 하나의 선택지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 ‘2023년 자살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자살에 대한 수용적 태도를 묻는 문항(자살은 때때로 관련된 사람들에게 구제책이 될 수 있다/자살만이 유일한 합리적 해결책인 상황이 있다)에 대한 동의 비율이 2018년 조사에 비해 각각 6.2%포인트(25.0%→31.2%), 2.9%포인트(24.5%→27.4%) 높게 나타났다.
한국의 자살률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도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간 연령표준화 자살률 통계를 보면 OECD 평균이 10.7명인데, 한국은 지난해 기준 24.8명으로 압도적 1위다. 평균의 2배가 넘고 2위인 리투아니아(17.1명)와도 격차가 크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자살 문제를 개인의 의지만 탓할 게 아니라 사회 전체 문제로 보고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문제가 심각해지자 제5차 자살예방기본계획(2023~2027년)을 마련하고 10년 주기인 정신건강 검진을 2년 주기로 단축하는 등 정신건강대책 강화에 나섰다.
자살이 사회적 문제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교회도 자살자에 관해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자살 문제에 관한 교회의 역할은 아직 미흡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조성돈 라이프호프 기독교자살예방센터 대표는 “코로나가 터지고 자살이 소폭 줄었는데 이번에 발표된 통계를 보고 보고 그때 결과가 ‘유보된 자살’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사회적 위기가 장기화 되면서 오히려 사람들이 위축되어 자살의 유혹을 넘어서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조 대표는 “사회의 특단의 조치가 없으면 이 죽음의 행렬은 더욱 불어날 것”이라며 “생명의 보루인 교회가 생명가치를 들고 일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안타깝게도 교회들은 모든 인프라를 갖추고 있음에도 자살예방에 대한 인식이 낮은 상태”라며 “지금이라도 ‘생명의 소중함’을 핵심 가치로 여기는 한국교회가 생명의 가치를 알림과 동시에 사람들의 정서적 돌봄 역할에 나서야 한다”고 전했다.

댓글 남기기

최근 기사

이메일 뉴스 구독

* indicate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