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2 F
Dallas
일요일, 5월 11, 2025
spot_img

[안지영 목사] 목회를 통해 교회를 배웁니다

목회는 인생의 해답을 그리스도 안에서 찾아가고 있는 여정

안지영 목사

나눔교회 담임
미드웨스턴 침례신학대학원 부교수

(지난 회에 이어)
하지만 그 당시에 나는 목사나 교회에 대한 인상이 별로 좋질 않았습니다. 특히 선교에 관한 일로 선교단체를 대표해서 여러 기관과 교단의 목사들을 만나러 다니면서, ‘목사 혐오증’이 점점 심해졌던 것 같습니다. 평신도 출신 선교사였던 내가 목사에 대해 받은 인상은 정말 좋지 않았습니다. 특히, ‘성직자’라는 태도를 풍기는 경우에는 더욱더 거부감이 들곤 했으니까요. 교회를 목사의 전유물로 여기는 태도 또한 자주 목격하면서 부정적인 인상이 더 깊어졌던 것 같습니다. 모든 목사가 그런 게 아닌데 말입니다.
게다가 나 자신도 목회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자라는 걸 보았습니다. 목회자는 다른 사람을 품어야 하는데, 그렇질 못했으니까요. 나는 다른 사람의 심리를 빨리 파악하는 편이라서, 상대방의 숨은 동기를 유별나게 빨리 알아채곤 했지요. 그러다 보니 상대방을 품기보다는 문제를 비판하는 게 훨씬 빨랐습니다. 그래서 내 별명이 “딱따구리”였으니까요. 그러기에 이런 나에게 ‘목회’는 가당치 않은 영역이라는 생각이 들 수밖에 없었지요.
그런데 래리 크랩의 책을 읽다가 그만 ‘목회’에 대한 부담이 내 속으로 훅 들어와 버리고 말았으니, 이걸 어떻게 해야 할지 쉽지 않았지요. 이렇게 고민이 깊어질 때마다 주님께, “저는 목회를 할 만한 그릇이 되지 못합니다’라고 토로했지요. 그런데 그때마다 주님께서는, “목회는 네가 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하는 것이다. 너는 내 말을 따르기만 하면 된다’고 말씀하시는 것 같았습니다. 이렇게 주님과 실랑이를 벌이기를 약 7년 정도 하다가 결국에는 목회를 받아들이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과하티케 부족어로 신약성경을 봉헌했던 2000년에 성경번역 사역을 마무리하고, 2002년에 신학교에 들어갔습니다. 내가 마흔일곱이 되던 해였습니다.
그러다가 신학교 1년을 남겨두고, 그동안 약 2년 동안 함께 성경공부 했던 네 가정을 중심으로 교회 공동체로 모이기 시작했습니다. 이 네 가정은 내가 선교사로 방문한 교회의 청년들이었습니다. 그들의 교회가 나를 후원하면서부터 내 사역을 위해 기도하고 있었다고 하더군요. 그들은 선교에 마음을 두고 미국으로 건너와 선교의 가능성을 찾아보는 중에, 내가 근처 신학교에 온다는 소식을 들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그들과 나의 만남은 약 20년 만에 이루어졌습니다. 그들은 대학 시절을 같이 보내고 직장도 같은 곳에서 근무했을 뿐 아니라, 신앙생활도 같은 교회에서 함께 했기에 정말 끈끈한 유대감을 가진 그룹이었습니다. 달라스에 와서도 같은 교회에서 신앙생활 하면서 활동했을 정도니 네 가정이 서로를 생각하는 마음이 정말 남달랐을 수밖에 없었지요.
그렇지만 새로운 비전을 품고 태평양을 건너와 사업을 시도했지만 이민자의 삶이 녹녹지 않았던 것 같았습니다. 그런데도 여전히 하나님을 향한 열정은 식지 않아 보였습니다. 더구나 성경 말씀에 대한 목마름이 컸던 것 같았지요. 내가 달라스에 왔다는 소식을 듣자, 숙소에서 짐을 풀고 있는 나를 찾아와서는 성경공부를 도와달라는 거였으니까요. 나에겐 진한 감동이었습니다. 아직도 그때 그 느낌이 생생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매 주일 저녁에 한 집에 모여 성경공부 모임을 했습니다. 각자 교회에서 주일 예배를 드리고 난 후에, 나를 포함한 다섯 가정이 모여 성경공부를 2년 정도 하였습니다. 성경본문을 읽고 궁금하거나 이해가 되지 않는 점을 찾아내는 것에 익숙하도록 돕는 걸 우선으로 한 방식으로 인도했지요. 또한 그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문의 배경과 문맥을 살피도록 안내하는 식으로 말입니다. 성경 본문을 본인들이 직접 살피도록 안내하는 방식입니다.
나의 역할은 그들이 그 방식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돕는 일이었지요. 이런 방식으로 성경 공부하는 걸 처음 경험한 그들은 성경공부의 새로운 맛을 경험했던 것 같더군요. 성경 본문을 새로운 각도에서 볼 수 있다는 걸 알게 된 거지요. 목사에게서 일방적으로 강의를 듣는 성경공부가 아니라 본인들이 직접 참여하니 훨씬 적극적인 반응을 보였지요.
이렇게 2년 정도 성경공부를 지속하다가 결국에는 한 가정집에서 교회 공동체로 모이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20년 가까이 목회하면서 나는 목회가 무엇인지 배웠습니다. 처음부터 목회에 대한 청사진을 만들어 놓고 그에 따라 실행했던 적은 전혀 없었습니다. 처음 경험하는 목회 현장은 마치 선교현장에 첫 발을 내디뎠던 그때와 다름이 없었었습니다. 수 없는 시행착오를 통과하면서 새로운 대안을 찾아내며 지금까지 왔습니다.
그러다 보니, ”목회는 내가 하는 것이니, 너는 내 말을 따라오기만 하라”고 하신 하나님의 의중이 무엇인지 어렴풋이 알게 되었네요. 목회자와 교회에 대한 나의 부정적인 시선을 넘어서 목회와 교회에 대한 본질을 배워가는 중이라고나 할까요. 나는 목회를 하면서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가 무엇인지 배우고 있습니다. 여전히 부족하지만, 교회를 향한 내 마음의 문이 훨씬 더 열려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아주 소중하게 다뤄야 할 주님의 보배라는 것을 알아가고 있습니다.
(다음 회에 계속)

최근 기사

이메일 뉴스 구독

* indicate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