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산업 분야를 불문하고 한국 기업들이 무슬림 채용을 늘리면서 우리 사회가 이슬람화의 초입에 들어섰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한국인의 일상에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할랄이 사실상 포교 수단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이슬람 율법인 샤리아를 근간으로 하는 할랄은 무슬림의 손을 거쳐야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육가공품이 할랄 인증을 받으려면 반드시 무슬림이 도축해야 한다. 기업들이 무슬림을 의무적으로 채용하는 이유다. 메카를 향해 하루에 5회 기도하는 이들을 위해 기도실을 마련하는 곳도 있다.
경기도 파주 한 기업은 무슬림 기도실인 ‘무쌀라’를 만들고 양탄자와 메카 방향을 찾을 수 있도록 나침반도 마련했다. 강원도 횡성의 한우 도축장도 휴게실을 기도실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등 무슬림 모시기에 팔을 걷었다.
할랄 인증 기관들은 할랄 제품을 만드는 기업들이 반드시 무슬림을 채용해야 하거나 기도실을 마련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하지만 사실상 이를 권장한다. 사내 기도실이 기업 내 휴게 시설만큼이나 필수적인 공간이라는 것이다. 이슬람 선교 전문가들이 할랄이 포교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주장하는 이유다.
이슬람중앙회가 운영하는 할랄 인증 기관(KMF)에 따르면 국내 할랄 인증 기업이 350여 곳에 달한다. 할랄 제품 종류만 1천400개에 달한다.
할랄 확산 배경에는 정부의 친 할랄 정책이 있다. 세계 할랄 시장을 사로잡기 위해 할랄 인증 기업의 해외 진출 등을 지원하고 있다.
‘K-할랄’이라는 용어가 등장할 만큼 할랄 시장에 진입하는 기업들은 꾸준히 늘고 있다. 한우부터 시작해 국민 간식 떡볶이까지 할랄 인증을 받은 제품들이 쏟아지고 있다.
지난 2014년 할랄 인증 기업 수는 100곳, 품목 수는 500건에 불과했으나 10년도 채 되지 않아 2~3배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같은 기간 국내 무슬림 인구도 부쩍 늘었다. 이슬람 협력 기구인 OIC 회원 국가 출신 이주민 수가 지난 2018년 20만 명에서 올해 26만 4천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토종 한국인 무슬림도 6만 명을 웃돌고 있다.
무슬림을 위한 예배 공간도 계속 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 들어선 이슬람 사원은 19개, 작은 규모의 기도처인 ‘무쌀라’는 약 200개다. 이와 관련된 각종 갈등도 일어나고 있다.
지난해 이슬람교중앙회가 경기도 연천군에 이슬람 캠핑장 조성하려 하자 지역민과 마찰을 빚었다. 대구시 대현동 경북대학교 부근 이슬람 사원 건립을 두고도 주민들과 2년이 넘게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다. 이슬람 사원 건립에 반대하는 시민들은 소음과 재산권 침해 등을 이유로 시위 중이지만, 이슬람교 측은 이슬람 혐오라며 각을 세웠다.
한국교회는 이슬람교의 지속적인 영향력 확대와 이로 인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기독교대한감리회(기감, 감독회장 이철)는 지난 7일 이슬람대책위원회를 열고 이슬람교의 실태를 알리는 영상과 단행본 배포 등에 힘쓰기로 결의했다. 정기회의 횟수도 2회에서 4회로 연장하기로 했다.
이철 기감 감독회장은 “일부다처제를 허용하는 이슬람이 국내에 유입되는 상황에서 국내 선교사들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어떻게 무슬림을 선교하고 이슬람화를 방어할지 연구하자”고 했다.
정부 차원의 대응을 촉구하자는 목소리도 나왔다.
한철희 이슬람대책위원회 위원은 “한국교회총연합과 함께 법무부에 이민 대책 부서에 면담하는 시간을 마련하자”고 개진했다.
이슬람연구원 김형원 본부장은 “이슬람교는 성경의 권위에 도전하고, 성경 읽기를 원천적으로 금지시키면서 평화의 종교라 홍보하고 있다”며 “이들에게 복음을 어떻게 나누고 전할지 연구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