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5 F
Dallas
토요일, 4월 19, 2025
spot_img

[이승경 부원장] 코비드, 그 이후

이승경 부원장
엘리트학원 플래이노 지점 부원장

코비드를 지나왔던 지난 3년, 건강을 지키는 것도, 돈을 버는 것도 힘겨운 일이었지만 학생을 둔 학부모들의 마음도 답답한 시간들이었습니다. 그나마 텍사스의 학교들은 빨리 수업을 재개한 편이어서 재빨리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하였고, 한 해 대면수업과 온라인 수업을 병행하다가 2021-22년부터는 온라인 수업 없이 대면 수업을 시작했습니다.

생각도 안해보았던 온갖 테크놀로지를 익혀 온라인 수업을 해야 했던 선생님들도, 친구들도 못 만난 채 스크린을 보며 수업을 들어야 했던 학생들도, 그러한 학생들을 어르고 달래가며 책상 앞에 앉혀야 했던 학부모들도 엄청난 수고를 하며 지나왔지만 코비드를 거친 학생들의 학업손실은 이미 입증된 사실입니다.

많은 연구들이 코비드에 의한 학업 손실에 대해서 보고하였습니다. 2022년에 발표된 한 연구는 미국 전역의 공립학교 학생3-8학년 학생들 540만명을 대상으로 영어와 수학 시험점수를 추적 조사하였습니다.

이 연구에 의하면 2021년 가을의 수학과 영어 성적이 코비드 전인 2019년 같은 학년 학생의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점수의 하락은 수학에서 더 크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흥미로운 것은 수학점수의 하락은 3학년부터 9학년에 이르기까지 모두 큰 비율로 떨어졌는데, 영어 점수의 경우에는 저학년에서 점수의 하락이 더 크게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점수하락은 2019년에서 2020년 사이보다 2021년에서 2022년 사이에 더 큰 하락을 보였습니다.

즉, 점점더 학업손실이 커진다는 것인데 이는 지난 학년의 것을 잘 배워야 다음 학년에서 학업을 이어나가는 것을 생각할 때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코비드에 따른 학업 손실은 사실 미국 전역의 학생들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지 않더라도 코비드 기간을 지난 학생들을 가르친 선생님들과 학부모들이 피부로 느끼는 현실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러한 학업손실을 상쇄할 수 있는 방안은 뭐가 있을까요? 이미 많은 공립학교들은 코비드 기간 동안 학생들의 학업능력이 감소한 것을 감지하였습니다.

이미 많은 공립학교들은 코비드 기간 동안 학생들의 학업능력이 감소한 것을 감지하였습니다. 학력평가 시험점수가 낮아졌을 뿐 아니라 학년을 패스하지 못하는 학생이 비율이 급격이 증가한 것입니다.

이에 대비해 수업시간을 늘리거나 학급내 학생 수를 줄이는 등의 조치를 취하기도 하고, 이미 전에 있었던 여름방학 수업을 통해 학력평가 시험이나 과목을 통과하지 못한 학생들을 관리하였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러한 방안들은 그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력감소 대응방안을 비교한 연구에 따르면 학급내 학생 수의 감소나 여름방학 특별수업은 코비드를 통한 학업능력 저하에 비해 그 효과가 크지 않았습니다.

반면 개인과외나 소규모의 과외는 코비드를 통한 학업능력 저하를 상쇄하는 수준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자원봉사자나 학부모에 의한 과외 보다는 선생님이나 학원과 같은 전문교육기관을 통한 과외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과외를 통한 영어와 수학 성적 향상에 대한 비교연구는 과외가 영어와 수학 모두에서 성적향상을 이루는데, 특히 영어과외는 어린 학년에서, 수학과외는 높은 학년에서 더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습니다.

또한 과외는 학기 중에 받는 것이 학기를 마친 뒤에 받는 것보다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년의 코비드를 거치며 학생들이 잃은 것은 점수만이 아닙니다. 학년이 올라가면서 자연스럽게 배우는 것들, 선생님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누군가에게 지도를 받는다는 것에 대해 배우고, 친구들과 함께 공부하며 더 잘해보고픈 마음이 싹트고, 누가 시켜서가 아니라 스스로 동기를 부여하여 공부하는 훈련을 할 시간을 잃은 것입니다.

지난 2년 동안 놓치고 지나간 것이 어떤 학생에게는 더 크고, 어떤 학생에게는 작을 수 있겠지만 그 시간들 위에 내 아이의 미래가 쌓여 올라간다는 것을 생각할 때, 좀더 지켜보자고 미루기 보다 지금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움직이기를 권해 드립니다.

최근 기사

이메일 뉴스 구독

* indicates required